[스크랩] 조언-논문 계획에서부터 마무리까지
@논문에 도움이 되는 사이트
국립중앙도서관
www.riss4u.net (한국교육학술정보원-학술연구정보서비스)***
www.keris.or.kr (한국교육학술정보원)***
www.papersearch.net (ksi 학술논문정보)***
www.krf.or.kr (한국학술진흥재단)
www.kstudy.com (ksi 한국학술정보(주) )
논문키워드에서 검색
(유료-페이지 당 가격 2천원~5천원선 택배비 별도)
@ 논문 작성 계획시 알아두면 좋은 점
1. 과제 선택
2. 제목 정하기
3. 관련 논문 찾아보기 -이때 도움이 될 만한 논문은 반드시 저장해 두기
-> 제목검색 후 초록보기를 해서 과제와 관련여부를 가려냄
-> 어떤 논문을 누가 썼는지 기록해 두어야 합니다. (다운받았을 때 학술지에 지재된 논문은 저술자, 학술지명 등이 없는 경우가 있음)
예) 논제(년도)/저술자/우리대학교 우리학부 석사학위논문/ 등..
4. 관련 원서 찾기 - 인터넷을 이용한 도서관 도서 검색 후 찾아보기
예) 군포시립도서관을 검색하면 홈피에서 검색이용
(시립도서관에도 논문이 비치되어 있음.)
5. 원서에서 필요한 부분을 복사해 두기- 도서관에서 복사.
->복사한부분에 반드시 교재명(출판년도)/저자명/출판사/지역을 써 놓으셔야 합니다. 논문 참고문헌에 넣어야 됩니다. 번역물인 경우 옮긴이도 써 놓으세요.
6. 전체 목차를 써보기
-목차는 세부적으로 쓰는 것이 좋습니다.
*논문계획서를 제출할 당시 여기까지 작업을 하시면 논문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거예요.
@ 논문 작성하기
1. 과제 정하기
->연구방법 정하기-4학년 1학기 유아연구 및 평가 책을 참고합니다.
조사연구, 관찰 및 사례연구, 역사연구, 문헌연구
2. 제목정하기
->제목은 세부적으로 정해야 해요.
예) 보육/유아교육에서의 프로젝트접근법에 대한 연구(c형)에서
나의 논제를 찾는 다면 ‘보육에 있어서 프로젝트접근법 연구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 현장에서 프로젝트접근법의 문제점’, ‘교육현장에서 프로젝트접근법이 갖는 교육의 효용성’등등.
3. 참고문헌 찾기
-> 관련된 여러 편의 논문을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내가 정한 연구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한 논문을 보셔야 합니다. 그래야 연구문제를 어떻게 설정하고 마무리 했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죠.
-> 두 번째로 관련된 책을 봅니다. 대부분의 저술은 논문들을 바탕으로 썼기 때문에 책을 많이 보시면 본론을 쓰실 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4. 목차 정하기
@서론(서론+연구문제)
@본론
@결론(결론+제언)
1) 서론-논문의 전개에 대한 안내문?
연구가 왜 필요한지를 밝히는 곳.
@연구문제- 이 논문을 통해서 밝히고자 하는 것, 찾아내고자 하는 것, 내가 원하는 답
3~4문항 정도가 적당한 것 같아요.
예) 교육현장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이 갖는 교육의 가치는 무엇인가.
교육현장에서 프로젝트 접근법이 갖는 문제점을 어떻게 보완할 것인가
2) 본론- 연구문제를 찾기 위한 내용들이 들어가야 합니다.
예)프로젝트접근법이론, 프로젝트접근법의 교육원리, 프로젝트접근법의 실제, 프로젝트접근법의 문제점, 프로젝트접근법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 보완점, 등등(연구되었던 사례들을 찾아서 작성)
3) 결론- 본론에서 중요한 점을 추려 쓰고 거기서 찾은 답을 씁니다.
예) 프로젝트 접근법은 하나의 주제에 대해 좀 더 심도 있게 가르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만 프로그램을 계획하는 단계에서 보다 치밀한 계획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는 프로그램의 질은 가르치는 교사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교사에 대한 교육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등등.
@제언-충고해주고 싶은 말들. (3~5가지)
제언의 내용은 물론 결론에 들어가 있지요. 그것을 간략하게 정리해서 앞으로의 연구문제에 대해 제언을 하는 것임.
예)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보다 폭넓은 연구가 필요하다.
프로젝트 접근법의 실제에 있어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교사연수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등등
5.기타 알아두면 좋은 점 (서론, 본론, 결론의 3단구성이 명확하게)
1. 목차를 쓸 때 세부적으로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깔끔하게 쓸 것(가장 중요)
2. 서론과 결론의 마무리를 잘할 것
3. 서체, 글씨 포인트 작지 않게 11~12
저의 경험으로 간단히 적어 본 것입니다. 참고하시고 모두 졸업의 영광이 함께 하시길 바랍니다.
여러분의 helper 드림.